상품의 배송비, 판매가, 재고를 설정할 수 있어요.
상품 대표정보를 기본으로 보여주고, 상품 정보 편집 화면 상단 스마트스토어, 쿠팡 등 오픈마켓 버튼을 클릭해 마켓별 상품 정보를 설정할 수 있어요.
좌측 세모(
)를 클릭한 후,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위치로 이동해요!
배송비
1) 소싱몰 배송비
•
상품의 원본 소싱몰(도매꾹, 도매매 등)에서 부과하는 배송비예요. 기본적으로 원본 소싱몰에서 수집된 배송비를 보여줘요.
•
해당 영역을 클릭하여 배송비 변경이 가능해요.
2) 배송비 유형, 반품배송비, 교환 배송비
•
배송비 유형, 기본 배송비, 반품 배송비, 교환 배송비, 배송비 조건은 기본설정에서 입력했던 설정값을 불러와요.
•
이 상품에 대해서만 배송비를 바꾸고 싶을 경우, 각각의 항목을 수정할 수 있어요.
쿠팡 반품배송비 최대값 자동맞춤 기능이 탑재 되어있어요.
1.
쿠팡의 초도배송비 + 반품배송비를 정책상 최대값으로 자동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2.
다른 마켓들 기준으로 반품배송비를 입력 해두시면, 쿠팡은 따로 신경쓸 필요 없이 윈들리가 알아서 최대값으로 업로드 해드려요.
쿠팡 배송비정책 자세히 보러가기 (왼쪽 삼각형 클릭)
판매가
1) 상품 판매가 변경
•
판매가를 클릭한 뒤 직접 금액을 입력해 수정할 수 있어요.
•
판매가 수정 후 수정한 판매가로 계산된 순수익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2) 상품 원가 변경
•
원가에는 원본 소싱몰의 수집 당시 가격이 입력되어 있어요.
•
원본 상품의 원가가 변동된 경우, 금액을 직접 수정할 수 있어요.
3) 판매가 할인율 설정
•
판매가 할인율을 변경하여, 할인 전 가격이 어떻게 노출될지 설정할 수 있어요. 판매가와 순수익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요.
•
옵션 및 판매가 목록 조정
1) 모든 옵션 보기 vs. 활성화 옵션만 보기
•
‘활성화 옵션 보기’에 체크하면 활성화 스위치가 켜진 옵션만 볼 수 있어요.
•
‘활성화 옵션 보기’의 체크를 해제하면 활성화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옵션을 볼 수 있어요.
2) 판매가 공식으로 변경
•
판매가와 순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소싱몰 배송비, 마진, 판매가 단위(올림), 판매처 수수료를 모아보고 수정할 수 있어요.
•
옵션가 기준 상품에 대해, 수정 전과 수정 후 판매가 및 순이익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① 판매가 공식 기준 - 마진
마진이란?
상품 판매가에서 원가를 뺀 금액을 의미해요.
일정 %만큼의 금액을 이익으로 남기도록 운영할 때 활용하면 좋아요.
마진 기준 가격 공식
•
마진 = (원가 + 소싱몰 배송비) x 마진율
•
판매가 = 원가 + 소싱몰 배송비 + 마진
•
판매수수료 = 판매가 x 판매처 수수료
•
순수익 = (판매가 + 기본 배송비) - (원가 + 소싱몰 배송비 + 판매수수료)
② 판매가 공식 기준 - 순수익
순수익이란?
마진에서 오픈마켓 수수료, 배송비 등 추가 비용을 빼고 실제 남는 금액을 의미해요.
특정 금액 이상을 확실하게 이익으로 남기고자 할 때 활용하면 좋아요.
순수익 기준 가격 공식
•
순수익 = 매출 - 비용
◦
매출 = 판매가 + 기본 배송비
◦
비용 = 원가 + 소싱몰 배송비 + 판매수수료
•
판매가 = 원가 + 소싱몰 배송비 + 판매수수료 + 순수익 - 기본 배송비
•
판매수수료 = 판매가 x 판매처 수수료
•
순수익 = (판매가 + 기본 배송비) - (원가 + 소싱몰 배송비 + 판매수수료)
순수익을 기준으로 하기 vs. 마진을 기준으로 하기
순수익 기준 : 원하는 순수익 금액을 보장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어요.
순수익에 맞춰서 마켓마다 판매가가 달라져요.
예를 들어, 상품을 판매할 때 무조건 2,000원은 남겨야겠다는 생각이 있다면 순수익 기준을 사용하는 게 좋아요.
원가 10,000원, 소싱몰 배송비 3,000원, 판매수수료 10%, 기본 배송비 3000원인 상품의 순수익을 2,000원으로 설정했을 때 판매가와 순수익은 아래와 같이 계산돼요. (판매가 단위(올림)는 500원으로 설정)
•
마켓 A 수수료가 10%일 때 판매가는 13,500원
•
마켓 B 수수료가 12%일 때 판매가는 14,000원
가격 공식에 판매처 수수료가 반영되어 마켓마다 판매가는 달라지지만, 순수익 2,000원은 항상 보장됩니다.
마진 기준 : 설정한 마진에 맞추어서 순수익을 계산해 드려요.
모든 오픈마켓의 판매가가 동일해져요.
예를 들어, 항상 원가의 20%만큼 마진을 붙여서 팔고 싶다는 생각이 있다면 마진 기준을 사용하면 돼요.
원가는 10,000원, 소싱몰 배송비는 3,000원인 상품의 마진을 20%로 설정했을 때 아래와 같이 판매가와 순수익이 계산돼요. (판매가 단위(올림)는 500원으로 설정)
가격 공식에 판매처 수수료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모든 마켓 판매가가 동일하게 설정돼요.
따라서, 마켓마다 판매처 수수료가 다른 경우 순수익이 달라질 수 있어요.
3) 옵션가 범위 필터
스마트스토어는 아래와 같이 까다로운 옵션 추가금액 제한이 적용돼요.
판매가 | 옵션 추가금액 제한 범위 |
2,000원 미만 | 0 ~ +100% |
2,000원 ~ 10,000원 미만 | -50% ~ +100% |
10,000원 이상 | -50% ~ +50% |
•
옵션 추가금액 제한은 할인 전 판매가 기준으로 %가 적용돼요.
•
판매가 할인율(%)을 높이면, 가격 허용 범위를 더 넓게 가져갈 수 있어요.
•
옵션가 범위 필터 버튼을 클릭하면 ±50% 옵션가 추가금액 제한 범위를 벗어난 옵션은 자동으로 비활성화 처리돼요.
•
예를 들어, 판매가 할인율이 20%로 설정되었을 때
◦
옵션가 기준(오렌지)의 할인 전 가격: 20,000원
◦
옵션가 기준(오렌지)의 판매가: 16,000원
•
스마트스토어가 허용하는 최대 추가금액: 10,000원 (할인 전 가격의 50%)
•
즉, 옵션가 기준(오렌지)의 판매가 16,000원 + 10,000 = 26,000원까지만 판매 가능해요.
•
이러한 조건에서 네이버 옵션가 필터 적용 버튼을 누르면 26,000원을 초과하는 옵션들은 모두 판매 옵션에서 제외되는 편리한 자동화 기능이에요.
4) 판매가 정렬
•
판매가 높은순 / 낮은순으로 옵션을 정렬하여 볼 수 있어요.
•
이곳에서의 정렬은 실제 옵션 순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요. 실제 옵션 순서는 옵션탭에서 바꿀 수 있어요.
옵션 및 판매가 목록 설명
1) 옵션가 기준
•
하나의 상품을 대표하는 가격인 옵션가 기준을 반드시 선택해야 해요.
•
모든 옵션 추가금액은 옵션가 기준을 바탕으로 계산돼요.
•
옵션 추가금액 계산 기준 설명:
◦
예를 들어, 아래 상품은 12,000원의 오렌지 옵션이 옵션가 기준으로 설정되었어요.
◦
퍼플 옵션은 14,000원이기 때문에 스마트스토어에는 옵션 추가금액이 2,000원인 것으로 업로드 돼요.
2) 재고
•
재고를 1 이상으로 설정하면, 등록된 상품에서 해당 옵션이 정상 판매 중으로 나타나요.
•
재고를 0으로 설정하면, 등록된 상품에서 해당 옵션이 품절 중으로 나타나요.
•
설정한 재고는 등록 이후 수정 업로드가 가능해요.
•
단, 옵션가 기준은 품절 상태로 등록할 수 없어요. 따라서 상품 등록 시 최소 1개의 옵션(옵션가 기준)에는 재고가 1 이상 입력되어 있어야 해요.
옵션 및 판매가 일괄 수정
•
옵션에 체크하면 나타나는 화면 하단 검은색 바의 기능들을 통해 판매가, 원가, 재고, 상품 상태를 일괄 수정할 수 있어요.
•
판매가 일괄 변경 버튼을 통해 모든 옵션의 판매가를 한 번에 수정할 수 있어요.
•
판매가를 일괄 변경하는 방법은 총 2가지가 있어요.
1.
판매가에 값 +/- : 판매가를 일정 금액만큼 더하거나 빼는 경우 사용하세요.
2.
판매가 통일: 판매가를 특정 가격으로 일괄 변경하고 싶은 경우 이 방법이 유용해요.
•
원가 일괄 변경 버튼을 통해 모든 옵션의 원가를 한 번에 수정할 수 있어요.
•
재고 일괄 변경 버튼을 통해 모든 옵션의 재고를 한 번에 수정할 수 있어요.
•
상품 상태 변경 버튼을 통해 모든 옵션의 상태(활성화/비활성화)를 한 번에 수정할 수 있어요.